1인가구 증가, 300㎖·1ℓ 등 틈새용량 생수시장 키웠다

입력 2018-10-12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롯데칠성음료)
(자료제공=롯데칠성음료)
1인 가구 증가와 여성을 타깃으로 한 소용량 생수가 기존 2ℓ 제품보다 성장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틈새 용량 제품이 브랜드 경쟁력의 한 축이 된 것이다.

12일 롯데칠성음료에 따르면 여성층을 타깃으로 하고 회의 시 음용수로 적합한 용량의 300㎖ ‘아이시스8.0’ 제품은 올해 1~9월까지 매출이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

특히 1인 가구를 위해 소형 냉장고에도 쏙 들어가는 직사각형 패키지로 만들어진 1ℓ 제품은 매출이 전년 대비 182% 뛰었다. 같은 기간 아이시스8.0 전체 매출이 약 6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9%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성과다.

매출 비중으로 봐도 성장세는 두드러진다. 생수 기본 사이즈로 분류되는 500㎖와 2ℓ 제품은 2015년 각각 43%, 46%의 비중에서 올해 41%, 38%로 낮아졌다. 반면 300㎖ 제품은 11%에서 18%로 7%포인트 높아졌으며 지난해 4월 선보인 1ℓ 제품은 2%, 12월에 선보인 어린이용 생수인 200㎖ 제품은 1%를 차지하는 등 틈새 용량 제품 비중이 21%로 커졌다.

롯데칠성음료는 틈새 용량 제품의 성장 요인으로 △휴대성 및 음용 편의성을 고려한 소비 성향 △1인 가구 확대 등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남기지 않아 낭비가 적고 상대적으로 가격부담이 적은 점 △오래 보관하지 않고 바로 신선한 물을 마시고 싶어하는 욕구 증가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틈새 용량 제품의 인기에 힘입어 롯데칠성음료의 아이시스8.0뿐만 아니라 농심도 지난 2016년 ‘백산수’ 330㎖ 제품을 출시했으며,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도 올해 ‘삼다수’ 330㎖, 1ℓ 제품을 출시하며 제품 다양화에 나설 계획이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생수 시장의 치열한 점유율 확대 경쟁 속에서 용량 다변화는 이제 브랜드 경쟁력의 중요한 한 축이 됐다”라며 "다양한 음용 상황에 맞춰 아이시스8.0의 타깃 마케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1~7월까지 국내 전체 생수 시장 규모는 4717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약 5.7% 성장했다. 롯데칠성음료의 생수 브랜드인 ‘아이시스(8.0, 평화공원 산림수, 지리산 산청수, 금수강산 순창수 총 4종)’는 올해 1~7월까지 562억 원 매출을 달성, 11.9%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사상 최대 점유율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민지도 승요 실패…두산 여자아이돌 시구 잔혹사
  • 다시 만난 최현석-안성재…'흑백요리사' 전 과거도 눈길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자사주 취득·소각 길 열린 고려아연…영풍 또 가처분 신청
  • 단독 예산 수십억 들였는데 참여 기업은 3곳뿐…'AI 신뢰 인증제'
  • 尹, 쌍특검법·지역화폐법 재의 요구...24번째 거부권[종합]
  • 北 쓰레기풍선 피해 지원액 1억 원 넘어설 듯
  • “축구협회, 홍명보 감독 선임하며 내부규정 안 지켜”
  • 오늘의 상승종목

  • 10.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586,000
    • +0.19%
    • 이더리움
    • 3,227,000
    • -2.89%
    • 비트코인 캐시
    • 430,500
    • -0.37%
    • 리플
    • 728
    • -9.57%
    • 솔라나
    • 191,900
    • -2.39%
    • 에이다
    • 470
    • -2.49%
    • 이오스
    • 635
    • -1.7%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3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650
    • -0.82%
    • 체인링크
    • 14,530
    • -2.87%
    • 샌드박스
    • 332
    • -2.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