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고 차관은 14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해 미 연준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및 평가, 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영향 및 대응방안, 한·미 금리역전의 거시경제 영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및 전망,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점검 등을 논의 안건으로 올렸다.
이 자리에서 고 차관은 연준이 이날 새벽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데 대해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발표 직후 시장에서는 일시적으로 주가 하락, 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가 나타났다”며 “그러나 이후 시장 영향이 되돌림되는 모습을 나타냈으며 이에 따라 전반적인 시장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 등 일부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번 연준의 결정으로 인한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 예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74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약 4000억 불에 이르는 외환보유액 등 대외건전성이 견고하다”며 “이에 따라 취약 신흥국으로부터 금융 불안의 전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라고 부연했다.
일각에서 한·미 기준금리 역전에 따른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유출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정책금리 역전만으로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외국인 주식자금은 금리 수준보다는 경제 펀더멘탈과 기업 실적 등에 좌우되고, 외국인 채권자금의 경우 중앙은행·국부펀드 등 장기투자자의 비중이 60% 이상인 점을 감안할 때 단기간 내 급격한 유출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했다.
다만 고 차관은 대외 리스크 요인이 산재한 만큼, 미 연준의 행보에 경각심을 갖고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고 차관은 “우선 미국·EU 등 주요국 경제상황과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등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및 신흥국 금융 불안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나가겠다”며 “또 미 금리 인상의 여파가 최근 무역갈등, 정치적 불안 등과 결합돼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대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업부문에 있어서는 “자금조달에 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동화증권(P-CBO)을 차질없이 운영하고, 회사채 시장 전반의 수급 불안이 발생하는 경우 채권시장 안정펀드를 재가동하겠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공조체계를 바탕으로 과도한 불안심리가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등 국내외 주요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