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 PF 보증 위험 수위

입력 2018-02-23 10: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위기 이후 채무보증 7.5배 증가…치솟는 금리에 ‘빚폭탄’ 우려

최근 시중금리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 몇 년간 눈덩이처럼 불어난 증권사들의 채무보증 규모가 증권업계의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채무보증은 당장 빚은 아니지만 유사시 대규모 부채로 돌변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의 채무보증 총액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26조3446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1조7039억 원 증가했다. 국내 증권사 전체의 자기자본 48조9358억 원 대비 53.83%에 달하는 규모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조 원대에 불과했던 채무보증 액수는 연평균 27%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 8년간 7.5배 증가했다.

개별 증권사들의 채무보증 규모를 보면 메리츠종금증권이 5조944억 원으로 NH투자증권(3조1297억 원), 한국투자증권(2조9414억 원), 미래에셋대우(2조7462억 원), KB증권(2조4224억 원) 등 대형사를 월등히 앞섰다. 또 △메리츠종금증권(157.3%) △하이투자증권(136%) △교보증권(132%) △IBK투자증권(119%) 등 4곳은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비중이 100%를 초과했다.

증권사 채무보증의 약 70%가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은행들이 관련 대출을 꺼리고 건설사들의 신용이 악화되는 과정에서 증권사들이 적극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공백을 공략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저금리 여건과 부동산 호황이 맞물리면서 채무보증 금액은 몇 년 사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문제는 이렇게 불어난 채무보증이 자칫 증권업계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금리 상승으로 인해 부동산시장이 침체될 경우 증권사가 건설사의 채무를 떠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극단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증권사들이 최대 1조1200억 원의 손실을 입게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언급했다.

특히 이달 20일 국고채 3년물 금리가 3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시중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채무보증과 관련한 증권업계 안팎의 우려도 점증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파티, 베이비 오일, 그리고 저스틴 비버…미국 뒤덮은 '밈'의 실체 [이슈크래커]
  • "시발점 욕 아닌가요?"…심각한 학생들 문해력 [데이터클립]
  • 의료AI 250조원 시장 열린다…‘휴먼 에러’ 막아 정확성↑
  • 미운 이웃 중국의 민폐 행각…흑백요리사도 딴지 [해시태그]
  • 지방 분양 시장, '알짜 단지' 쏠린다…양극화 심화
  •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부진…고개 숙인 전영현 “위기를 극복하겠다”
  • ‘위고비’ 마침내 국내 상륙…‘기적의 비만약’ 기대 충족할까
  • 린가드 국감 등장할까?…상암 잔디 참고인 이름 올렸다
  • 오늘의 상승종목

  • 10.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544,000
    • -0.16%
    • 이더리움
    • 3,289,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441,200
    • +1.26%
    • 리플
    • 718
    • +0%
    • 솔라나
    • 194,700
    • -1.37%
    • 에이다
    • 476
    • -0.83%
    • 이오스
    • 638
    • +0.16%
    • 트론
    • 212
    • +1.44%
    • 스텔라루멘
    • 123
    • -0.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350
    • -0.89%
    • 체인링크
    • 15,000
    • -1.7%
    • 샌드박스
    • 346
    • +0.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