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산업 불경기 악재...공업시설 경매 낙찰가율 10년來 최저

입력 2018-02-22 15: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동산 경기가 호조에 주거시설의 경매 낙찰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있는데 반해 공업시설 경매 시장은 중공업·조선 등 기간산업의 불황으로 큰 침체를 보이고 있다.

22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경매시장의 전국 공업시설 평균 낙찰가율은 65.1%로 나타나 68.3%를 기록했던 2006년 이후 10년 내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전년인 2016년엔 66.1%, 2015년엔 65.6%로 나타나 3년 연속 60%대 중반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중공업 및 조선 등 국가기간산업에 대한 악재들이 수년간 이어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지난 2012년까지는 공업시설 낙찰가율은 주거시설과 상승 혹은 하강 국면을 함께 맞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용도별로 상승과 하강이 엇갈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거시설 평균 낙찰가율은 2012년 이후 6년 동안 꾸준히 상승하면서 10.2%p 상승폭을 기록한 반면 공업시설은 동일기간 오히려 3.0%p 하락했다. 한때 8.2%를 보이던 주거시설과 공업시설 낙찰가율 격차는 현재 22.3%p 까지 벌어졌다.

2013년부터 5년간 낙찰된 공업시설 단독물건은 약 7400여건이다. 이는 동일기간 낙찰된 주거시설의 건수인 13만여 건의 5.7%에 불과하다. 하지만 낙찰총액은 11조4266억원으로 동일기간 주거시설 낙찰총액 25조1798억원의 45.3%에 달했다.

낙찰가율이 저조해진 만큼 미회수 채권액도 증가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낙찰된 경매 물건의 등기부상 채권 총액은 건물 등기부 상의 단일 물건 기준으로 26조9800억원이었다. 낙찰액 11조4천억 원 비교해 보면 15조5000억원 가량의 미회수 금액이 발생한 것이다. 동일기간 공업시설의 감정가 총액도 17조1800억원으로 감정가의 비해서도 약 5조7500억 원 가량 낮은 수준에서 낙찰됐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이같은 현상은 조선업·중공업 등 지방 대형 공업시설들의 경매행이 늘어나면서 벌어지는 것으로, 특히 대형 공업시설은 물건 당 채권액이 과다한 편이라 문제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라며 “최후의 수단인 경매를 통해서도 채권회수가 안된다면 고스란히 금융권 및 경제 전반의 부담으로 작용될 수 있어 가계부채 이외에도 기반시설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페인, 잉글랜드 꺾고 '4번째 유로 정상'…MVP는 로드리·신인왕 야말 [유로 2024]
  • 2024 초복 인기 메뉴는 단연 치킨…복날 맞이 치킨 가격 순위 50 [그래픽 스토리]
  • 정부 규제에 배달 수수료·최저임금 ‘쑥’…셔터 내리는 프랜차이즈 [K프랜차이즈 갈등의 골]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FBI “트럼프 총격범, 단독범행…정신병력 없다”
  • 변우석 측, '과잉경호' 논란에 사과 "현장에서 인지할 수 없어…도의적 책임 통감"
  • 5대銀, 상반기 부실채권 3.2조 털어내…연체율 코로나 이후 최고 수준
  • 사법리스크 ‘최고조’ 달한 카카오…주가 시나리오 따져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360,000
    • +4.94%
    • 이더리움
    • 4,710,000
    • +5.11%
    • 비트코인 캐시
    • 546,500
    • +1.39%
    • 리플
    • 745
    • +0.95%
    • 솔라나
    • 215,800
    • +6.25%
    • 에이다
    • 617
    • +2.15%
    • 이오스
    • 814
    • +5.85%
    • 트론
    • 195
    • +0.52%
    • 스텔라루멘
    • 145
    • +2.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7.93%
    • 체인링크
    • 19,390
    • +5.96%
    • 샌드박스
    • 460
    • +3.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