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결정문이 공개되자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헌재가 기업들을 박 전 대통령의 강요에 따른 ‘피해자’로 판단하면서 “큰 고비를 넘겼다”는 반응이지만 마냥 안도할 순 없다. 탄핵인용으로 최순실 모녀 재단 뇌물죄 공여와 관련한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조기 대선 실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지만, 특검에 이어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삼성·SK·롯데·CJ그룹 등 대기업 수사에 다시 나설 것으로 관측되면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헌정 사상 처음 있는 현직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대선까지 권력 공백 상태가 지속된다는 점, 대선 과정에서 기업 규제 관련 공약이 난무하는 등 반(反)기업 정서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점 등이 우려되고 있다.
재계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본질과 관련해 필요한 수사 등은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정상적인 기업활동에는 더 이상 지장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재계 관계자는 “헌재 결정과 형사 재판이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출연금에 대한 헌재와 특검의 다른 해석을 놓고 섣부른 판단은 조심해야 한다”면서도 “박 전 대통령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에게 수사가 집중돼야지 본말이 전도되는 상황으로 몰아가서는 안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구속시킨 특검은 그동안 ‘이재용→최순실→박근혜’로 이어지는 뇌물죄 연결고리를 찾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결국 사건의 몸통 격인 박 대통령의 범죄사실을 규명하지 못한 채 수사를 종료했다. 이에 탄핵이 인용되자 향후 재판과정에서 법원이 이 부회장으로부터 시작되는 뇌물죄 연결고리를 일정 부분 인정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주요 그룹들의 검찰 수사에 대비한 대응 전략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SK 관계자는 "검찰 진행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글로벌 경영 활동 차질 등 장기간 수사로 인한 기업경영활동의 위축 등 애로사항을 소명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롯데와 CJ그룹 역시 대가성 혐의에 대해서는 부인하는 한편 검찰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5월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45억 원을 출연했다. 또 K스포츠 재단에 추가로 70억 원을 출연했다가 검찰이 롯데를 압수수색하기 전 돌려받아 대가성 논란이 일고 있다.
롯데는 검찰의 고강도 조사 예고 외에도 사드 부지 제공에 따른 중국 당국의 전방위 제재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신동빈 회장이 중국 고위층과 상당한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에도 특검팀의 출국 금지 조치로 운신폭이 제한되는 등 해법 마련에 발목이 잡혔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검찰 조사와 관련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현재 사드와 관련한 피해를 살피고 직원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CJ그룹은 지난해 1월 문화창조융합벨트(K컬처밸리) 사업에 1조4000억 원을 지원키로 하는 등 박근혜 정부의 문화창조 사업에 전폭적으로 협조한 것이 이재현 회장 사면에 대한 대가성이라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 회장은 현재 신병 치료차 미국에 가 있다.
이에 검찰의 수사가 다시 시작되면 이 회장의 경영 복귀도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주총시즌을 맞아 CJ그룹 내 주요 계열사들이 권력기관 출시 사외이사들을 대거 선임하는 것을 두고 검찰 조사에 대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