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물] 11월 25일 ‘강철왕’ 카네기-부의 사회환원에 솔선한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

입력 2016-11-25 10: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배준호 국제부 차장

‘강철왕’ 앤드루 카네기(1835.11.25~1919.8.11)는 존 D. 록펠러와 함께 19세기 ‘도금시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부호다. 스코틀랜드 이민자 출신으로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는 속담이 카네기만큼 잘 어울리는 사람도 없다. 축재 과정에서는 독점과 의원 매수, 노동운동 탄압 등 온갖 악행으로 악덕 자본가라는 욕을 먹었으나 말년에는 재산을 교육과 문화사업 등에 기부해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의 선례가 된 자선활동가로 명성을 남겼다.

어린 시절부터 부에 대한 감각이 남달라 여러 일화가 지금까지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토끼한테 친구 이름을 붙여, 친구들이 자기 대신 열심히 토끼를 키우도록 했다는 얘기는 “나보다 우수한 사람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았다”고 강조한 카네기의 경영철학과도 맥을 같이한다.

철도회사에서 일하면서 장거리 노선에 침대차를 도입해 큰 성공을 거두었고, 남북전쟁 종결 후 철강사업에 뛰어들어 제국을 구축했다. 카네기의 철강회사는 한때 미국 철강 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했을 정도다. 카네기는 1901년 66세에 이르러서 자신의 회사를 당시 미국 2위 철강업체를 보유했던 은행가 J.P.모건에게 넘겼다. 이것이 바로 현재 US스틸의 전신이다.

이후 카네기는 미국 전역에 3000개의 무료 도서관을 세우고 카네기멜론대학과 카네기박물관을 설립하는 등 자선사업을 펼쳤다. “부자로 죽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라는 말을 남길 정도로 사회 환원에 적극적이었던 카네기는 사망하기 전에 약 3억5000만 달러(약 3995억 원)를 기부했는데 오늘날 가치로 환산하면 769억 달러에 이른다. 남은 재산 3000만 달러도 각종 자선단체 등에 기부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저서로 ‘승리의 민주주의’ 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2: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326,000
    • +0.55%
    • 이더리움
    • 5,303,000
    • -0.45%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31%
    • 리플
    • 721
    • -0.55%
    • 솔라나
    • 228,100
    • -1.81%
    • 에이다
    • 628
    • -0.63%
    • 이오스
    • 1,133
    • -0.26%
    • 트론
    • 160
    • +1.91%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0.29%
    • 체인링크
    • 25,290
    • -2.39%
    • 샌드박스
    • 627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