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비선실세' 강제 수사 착수…전경련ㆍ미르·K스포츠재단 동시 압수수색

입력 2016-10-26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르·K스포츠 재단을 통한 '비선실세' 국정개입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800억 원대 기업 자금을 지원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미르·K스포츠 수사팀은 2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위치한 전경련 사무실을 비롯해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관련자 주거지 등을 동시에 압수수색 중이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0)씨 자택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국내 대기업들이 두 재단에 지원한 출연금의 흐름과 관련된 장부와 회계자료 등을 확보한 뒤 횡령이나 배임 등 혐의적용을 검토할 예정이다.

검찰은 전날 전경련 임원 이모 씨와 권모 팀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시민단체인 투기자본감시센터는 지난 5일 최 씨와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전경련 허창수 회장과 이승철 상근부회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삼성과 SK, LG, 현대차, 롯데, 한화 등 국내 대기업 대표들도 포함됐다.

두 재단이 공시한 출연금 내역에 따르면 미르는 30개사에서 총 486억 원을, K스포츠는 49개사에서 288억 원을 받았다. 두 재단에 10억 원 이상을 출연한 기업은 △삼성 204억 원 △SK 111억 원 △현대차 82억 원 △LG 78억 원 △포스코 49억 원 △롯데 45억 원 △GS 42억 원 △한화 25억 원 △KT 18억 원 △LS 16억 원 △CJ 13억 원 △두산 11억 원 △대한항공 10억 원 순이었다.

검찰은 이날 K스포츠 재단의 실소유 업체로 지목된 더블루케이 전 대표 조모(57) 씨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조 씨는 더블루케이 초대 대표이사를 맡았던 인물이다. 더블루케이는 최 씨가 지분 100%를 소유한 업체로, 지난 1월 12일 설립됐다. 최 씨의 최측근이었던 펜싱 국가대표 선수 출신 고영태(40) 씨가 실질적 운영자로 거론되자 지난달 폐업했다. 최 씨가 체류 중인 독일 현지에도 같은 이름의 법인이 있다. 최 씨가 미르와 K스포츠 재단을 통해 받은 출연금을 더블루케이와 독일에 세운 '비덱'을 통해 해외로 유출하려던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도심속 손님일까 이웃일까' 서서울호수공원 너구리 가족 [포토로그]
  • "여행 중 잃어버린 휴대품은 보험으로 보상 안 돼요"
  • 축협, '내부 폭로' 박주호 법적 대응 철회…"공식 대응하지 않기로"
  • "임신 36주 낙태 브이로그, 산모 살인죄 처벌은 어려워"
  • 삼성전자, ‘불량 이슈’ 갤럭시 버즈3 프로에 “교환‧환불 진행…사과드린다”
  • 쯔양, 구제역 '협박 영상' 공개…"원치 않는 계약서 쓰고 5500만 원 줬다"
  • 시청률로 본 프로야구 10개 구단 인기 순위는? [그래픽 스토리]
  • "귀신보다 무서워요"…'심야괴담회' 속 그 장면, 사람이 아니었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502,000
    • +1.87%
    • 이더리움
    • 4,901,000
    • +1.16%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2.23%
    • 리플
    • 830
    • +5.46%
    • 솔라나
    • 236,300
    • +0.6%
    • 에이다
    • 603
    • +0.17%
    • 이오스
    • 849
    • +1.07%
    • 트론
    • 189
    • +0%
    • 스텔라루멘
    • 147
    • +1.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250
    • +2.63%
    • 체인링크
    • 19,660
    • +2.02%
    • 샌드박스
    • 481
    • +3.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