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흥국화재 검사 검토… 태광그룹 계열사 부당 거래 혐의

입력 2016-09-22 09:34 수정 2016-09-23 13: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감독원이 태광그룹의 금융계열사인 흥국화재에 대한 검사를 검토 중이다.

금융당국은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의 개인 비리 의혹과 그룹 간 부당거래에 관련해 내부 고발자 등을 통해 정보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계열사 부당거래, 소위 ‘김치경영’으로 문제가 된 태광그룹 계열사 거래를 들여다보기 위해 흥국화재에 대한 검사를 저울질하고 있다.

계열사 간 거래의 문제점을 간접적으로 수차례 경고했으나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검사에 직접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태광그룹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부당 거래 의혹 등은 논란이 됐던 사안이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일가가 운영하는 회사와 태광그룹 계열사들의 거래가 정상적이지 않다는 게 쟁점이다. 이 전 회장은 현재 1300억 원대 횡령ㆍ배임 혐의로 재판 중이다.

흥국화재는 그 중심에 서 있다.

이 전 회장 일가가 주주인 티시스가 흥국화재를 통해 올린 매출은 379억 원으로 집계됐다.

티시스는 이 전 회장(51.02%)을 비롯해 아들 현준 씨(44.62%), 아내 신유나 씨ㆍ딸 현나 씨(각 2.18%)가 지분을 보유한 사실상의 ‘가족 회사’다.

작년 말 흥국화재 감사보고서를 보면 티시스를 대상으로 발생한 채권ㆍ채무액은 약 334억 원에 달한다.

지난달 12일 ‘태광그룹 바로잡기공동투쟁본부’는 금감원에 태광그룹 계열사 간 부당한 일감 몰아주기를 문제점으로 지적하며 진정서를 보내기도 했다. 이에 금감원은 같은 달 23일에 “(투쟁본부에서 지적한) 계열사 거래에 대한 것은 금감원의 흥국생명 검사 업무 시 참고할 예정”이라고 회신했다.

진정서는 흥국생명ㆍ화재를 비롯한 태광그룹 계열사들이 티시스의 계열사를 통해 김치를 시장가를 웃돈 금액에 구매해 직원들에게 성과급 대신 제공했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따라서 흥국생명에 대한 검사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진웅섭 금감원장은 임원회의를 통해 시장질서를 어지럽히는 금융회사를 상대로 “사안에 따라 환부를 도려낼 것”이라며 강도 높은 발언을 한 바 있다. 금융회사 검사를 컨설팅 위주로 바꾼 뒤 금감원을 상대로 한 소송이 늘어나는 등 시장 질서가 무너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감원과 흥국생명은 제재 범위를 놓고 최근 5년간 법적공방을 벌인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20,000
    • -2.43%
    • 이더리움
    • 4,936,000
    • -2.74%
    • 비트코인 캐시
    • 583,000
    • -4.74%
    • 리플
    • 708
    • +2.02%
    • 솔라나
    • 201,000
    • -2.43%
    • 에이다
    • 565
    • -3.91%
    • 이오스
    • 874
    • -6.42%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650
    • -4.92%
    • 체인링크
    • 20,030
    • -5.83%
    • 샌드박스
    • 492
    • -9.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