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현재 亞 경제, 2004년 그린스펀 시대와 달라…금리인상 충격파 미지수

입력 2015-12-15 14: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변화한 경제규모. 중국은 2009년에 경제 규모에서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섰다. GDP(단위 : 조 달러) 출처=블룸버그
▲변화한 경제규모. 중국은 2009년에 경제 규모에서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섰다. GDP(단위 : 조 달러) 출처=블룸버그

현재 아시아 경제의 상황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마지막으로 금리를 올렸던 9년 전과 달라 이번 금리인상의 충격파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금으로부터 9년 전인 2004년, 연준은 앨런 그린스펀 의장의 지휘 하에 긴축 국면에 들어갔다. 당시 아시아 경제는 견조했다. 일본이 경제 규모에서 세계 2위였고, 중국은 두 자리 성장을 계속했다. 동남아시아 신흥국은 성장세를 회복해 아시아 통화위기는 아득한 옛일처럼 여겨질 정도였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러던 것이 상황은 돌변, 연준이 재닛 옐런 의장의 지휘 하에 2006년 이후 처음으로 금리인상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의 경제 전망은 9년 전보다 훨씬 좋지 않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중국은 경제 성장률이 25년 만의 최저에 그칠 전망이고, 일본은 3년새 두 번째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겨우 피했다. 여기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자금이 유출되면서 과거에는 대접 받던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은 부진을 겪고 있다.

옐런 의장이 이끄는 연준이 지난 9월에 금리 인상을 미룬 요인 중 하나도 아시아의 이같은 상황 때문이었다. 올여름 중국증시에서 5조 달러 가량의 시가총액이 증발하면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증폭됐다. 미국 금융 당국이 긴축에 착수할 경우 아시아에 어느 정도의 악영향이 미칠 지에 대해선 애널리스트들조차 짐작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분명한 리스크 중 하나는 거액의 달러 표시 채무다. 금리 인상에 따라 자금이 아시아 지역에서 유출돼 현지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 대외 채무 상환은 더욱 어려워진다.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는 특히 치명적이다. 이코노미스트의 배리 아이켄그린, 리카르도 하우스만 두 사람은 ‘원죄’라는 말을 사용해 해외 차입을 해온 신흥국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한편에서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외환 보유액 증가와 변동 환율제 도입, 비교적 탄탄한 재정 수지 동향이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방어가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에서 아시아를 보호하는 데 충분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이코노미스트 필딩 첸과 톰 오클릭은 중국은 회복력이 가장 강한 나라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들 두 사람은 “미 금융 당국의 움직임은 광범위하게 전달돼 아시아가 급격한 자금 유출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한다”며 “만일 그러한 사태가 되더라도 중국에 대한 영향은 한국 등 훨씬 익스포저가 큰 무역상대국에서의 수요 둔화를 통한 것이 되어 직접적인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단독 맘스터치, 국내서 드라이브스루 도전장…내달 석수역에 문 연다
  • 추석 명절 스트레스 1위는…"언제 오니?" 시댁 전화 [그래픽 스토리]
  • 추석 연휴에 아프면?…"경증이면 병·의원, 큰 병 같으면 119"
  • “별다방서 처음 맛보는 마티니 한잔”...스타벅스, 10번째 스페셜 스토어[가보니]
  • 청년 연간 최대 200만 원 세금 감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십분청년백서]
  • 美 대선 TV토론에도 심심한 비트코인, 횡보세 지속 [Bit코인]
  • "무시해" 따돌림까지 폭로한 뉴진스 라이브 영상, 3시간 만 삭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9.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101,000
    • +2.16%
    • 이더리움
    • 3,179,000
    • +0.86%
    • 비트코인 캐시
    • 450,400
    • +2.69%
    • 리플
    • 724
    • +0.56%
    • 솔라나
    • 181,300
    • +1.68%
    • 에이다
    • 479
    • +4.59%
    • 이오스
    • 668
    • +2.61%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6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700
    • -1.79%
    • 체인링크
    • 14,240
    • +0.78%
    • 샌드박스
    • 346
    • +2.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