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간선거 공화당 장악…한반도 정책 기조에 영향 끼치나

입력 2014-11-05 14: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외문제 소극적인 공화당, 큰 변화 없을 듯…대북 강경기류 강화될 가능성 있어

4일(현지시간) 시행된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동시에 장악하면서 미국의 한반도 정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워싱턴 외교가는 이번 선거결과가 의회의 권력지형을 ‘여소야대’로 바꿔놨지만 한반도정책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예로부터 해외 문제 개입에 소극적인 공화당의 정치성향을 고려하면 미국의 전반적 대외정책 운용에서 고립주의 경향이 심화될 여지는 있으나 한반도 정책만큼은 그동안 민주ㆍ공화 양당이 일종의 ‘컨센서스’속에서 초당파적으로 접근해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한미동맹관계에 대해서는 강력한 대북억지와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자는데에 여야 구분이 없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등 대형무기도입 사업과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과 같은 현안이 남아있기는 하나 이와 관련해서도 민주당, 공화당 사이에 견해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ㆍ통상관계 역시 그동안의 초당파적 접근 기조를 고려할 때 뚜렷한 정책 변화 가능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다만 친무역성향의 공화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무역협상촉진권한(TPA)을 부여하고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에 속도를 붙일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협상 진전에 따라 ‘장외’에 있는 한국은 협상 참여시기와 형식을 결단해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중간선거 결과에 따라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바로 대북 정책의 궤도 수정 여부이나 이 역시 오바마 행정부가 현재의 ‘전략적 인내’ 기조를 유지하려는 정책적 관성이 강하고 북한 자체가 미국 대외정책 관심에서 밀려나 특별한 변화를 예상하기는 어렵다는 해석이 제기됐다.

한편 공화당 인사들이 주도해온 대북제재 관련 법안들이 탄력을 받고 전통적으로 보수 안건인 북한 인권 이슈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여 대북 자세가 더욱 강경해질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공화당 소속인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이 발의한 ‘대북제재이행법(H.R. 1771)’의 향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이 법안은 중간선거 이후 레임덕 세션에서 처리되지 못하면 이번 113대 회기에서 자동폐기되나 내년 초 새로운 회기가 시작되면 다시 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생일 축하해” 루이바오·후이바오의 판생 1년 [해시태그]
  • 축구협회, 국가대표팀 사령탑에 홍명보 감독 내정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수도권 천둥·번개 물폭탄…무더위는 계속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이마트 ‘노브랜드’ 발품 팔아 찾은 가성비...해외서도 통했죠”[단독 인터뷰]
  • ‘평생 트라우마’ 학교폭력, 더 심해지고 다양해졌다 [학교는, 지금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1: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702,000
    • -4.66%
    • 이더리움
    • 4,092,000
    • -5.56%
    • 비트코인 캐시
    • 437,400
    • -8.42%
    • 리플
    • 588
    • -7.11%
    • 솔라나
    • 185,600
    • -7.29%
    • 에이다
    • 484
    • -7.28%
    • 이오스
    • 684
    • -6.94%
    • 트론
    • 177
    • -4.32%
    • 스텔라루멘
    • 118
    • -7.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530
    • -7.65%
    • 체인링크
    • 17,330
    • -6.68%
    • 샌드박스
    • 395
    • -7.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