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간 엇박자 통화정책에 韓경제‘몸살’…수출 직격탄

입력 2014-11-03 09:28 수정 2014-11-03 10: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요 선진국들이 ‘제각각 통화정책’을 단행하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 낀 한국의 ‘샌드위치 경제’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년만에 양적완화 종료를 선언한 데 이어 그로부터 하루 만인 지난달 31일 일본은행이 양적완화 규모를 종전보다 10조~20조엔 늘리는 깜짝 추가 부양조치를 단행했다. 유럽도 조만간 뒤늦은 돈풀기에 동참할 태세다.

당장 선진국 통화정책의 공조없는 엇박자가 현실화되면서 통화별 가치 차이가 확대되고 있다. 뉴욕외환시장에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달러당 엔화 가치는 3% 가까이 떨어지면서 112.32엔으로 밀렸다. 장 중에는 지난 2007년 12월 이후 최저치인 112.48엔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달러는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10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한 블룸버그달러스팟인덱스는 0.9% 오른 1080.84를 기록했다. 이는 2010년 6월 이후 최고치다.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고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은 곧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전성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엔 악재일 수밖에 없다.

특히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로 엔저가 심화하면 일본 기업들이 수출단가를 본격적으로 낮추게 돼 우리나라 수출기업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

김유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 기대감을 반영해 엔화 약세가 가파르게 진행되면 원·달러 환율의 상승폭이 단기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일본과의 수출 경합도가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실적에 대한 부담은 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전세계 금융시장에서 결정되는 엔화 환율에 대해 한국으로선 사실 마땅한 대응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이에 환변동보험료 부담 경감과 정책자금 지원 등 응급처방이 아닌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세환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계속되는 엔저 충격을 줄이려면 정부 차원의 원-엔 직거래 시장 개설 검토나 기업들의 환변동 보험 가입을 위한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월 60만 원 더 번다"…직장인들 난리 난 이 부업 [데이터클립]
  • "여전히 뜨거운 파리, 12일간의 열전…패럴림픽 제대로 알고 보세요" [이슈크래커]
  • “4만원 중 1만원 떼여”…배달주문 끊고 차등가격 등 자구책 찾는 자영업자들(르포)[씁쓸한 배달왕국]
  • 단독 LG디스플레이, 경영 악화 구조 조정에…“파주·구미 공장 1400명 퇴직 원한다”
  • 전국적으로 줄줄이 터지는 '싱크홀' 공포…어떤 보험으로 보상받나
  • 잘 나가는 제약·바이오기업 이유 있었네…R&D ‘통 큰 투자’
  • “끝없는 경기 불황” 서울 외식업종 폐업 코로나 때보다 더 늘었다
  • 포스트시즌 진출 변수인 '잔여 경기'…가장 유리한 구단은?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9.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9,415,000
    • +0.17%
    • 이더리움
    • 3,427,000
    • +1.51%
    • 비트코인 캐시
    • 436,300
    • -0.07%
    • 리플
    • 761
    • +0.26%
    • 솔라나
    • 181,200
    • -0.17%
    • 에이다
    • 452
    • -1.95%
    • 이오스
    • 640
    • +1.27%
    • 트론
    • 209
    • -2.34%
    • 스텔라루멘
    • 125
    • +0.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300
    • +2.5%
    • 체인링크
    • 14,510
    • +0%
    • 샌드박스
    • 339
    • +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