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세상] ‘중년의 위기’는 착시라는 가설

입력 2024-11-18 18: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흔히 나이를 계절에 빗대고는 한다. 개인에 따라 노화 속도가 다르지만 대략 20년 단위로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해당하지 않을까. 늦가을인 지금이 50대 중반인 필자의 계절이라고 생각하니 반갑기보다는 왠지 스산하다.

그런데 ‘중년의 위기(midlife crisis)’로 불리는 한 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필자는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는 중으로 좋아해야 한다. 나이에 따른 주관적 웰빙, 즉 행복감을 보면 사오십대 중년에서 가장 낮은 ‘U’자형 패턴을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에 따르면 인생의 가을보다 겨울에 주관적 웰빙이 높은데, 다만 사망 전 수년 동안은 예외다. 중병에 걸려 심신이 괴로울 것이기 때문이다.

주관적 웰빙, 나라별·개인별 편차 커

그런데 신체 능력은 청장년에서 중년, 노년으로 갈수록 떨어지고 정신 능력도 중년은 순발력은 떨어져도 판단력은 오히려 올라갈 수 있지만 노년에는 후자도 떨어진다. 그런데 왜 주관적 웰빙은 U자 곡선을 보일까.

이에 대해 여러 설명이 있는데, 먼저 중년에는 임원 승진 같은 이루지 못한 열망을 고통스럽게 느끼지만 나이가 들수록 점차 포기하며 현실에 만족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

중년이 자녀 양육과 직업 전선의 스트레스가 가장 큰 시기이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한편 동물원의 침팬지와 오랑우탄 같은 유인원도 중년의 위기를 보인다는 관찰에서 진화적으로 보존된 심리적 특성이라는 가설도 있다.

지난달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는 중년의 위기가 인류의 보편적 현상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가 주축이 된 다국적 공동연구자들은 지구촌의 다양한 사회에서 주관적 웰빙을 조사한 결과 심지어 ‘역U(∩)’자 패턴, 즉 중년에 가장 행복하다는 결과도 꽤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중년의 위기(U)는 사회 복지가 잘 돼 있는 서구 사회에서 보이는 패턴일 뿐으로, 특히 의료나 복지가 부실한 저소득 국가에서는 나이가 들수록 주관적 웰빙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편 주관적 웰빙 패턴이 U자나 ∩자로 나오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우는 적었다. 오히려 개인에 따라 자기 나이대의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얘기로 사별이나 이혼, 실직 등의 경험은 어느 나이대에 겪어도 충격이 커 주관적 웰빙 수치가 뚝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나이에 따른 주관적 웰빙, 즉 삶의 만족도 변화는 지역과 사회에 따라 다르고 개인의 편차도 크다. 저소득 23개 나라의 농촌 사회 조사 결과로 아프리카는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고 아시아는 역U(∩)자 패턴이고 남미만 U자 패턴을 보인다. 중년의 위기는 인류의 보편적 현상이 아니라는 말이다. 실선은 남성, 점선은 여성이다. 출처 ‘사이언스 어디밴시스’
▲나이에 따른 주관적 웰빙, 즉 삶의 만족도 변화는 지역과 사회에 따라 다르고 개인의 편차도 크다. 저소득 23개 나라의 농촌 사회 조사 결과로 아프리카는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고 아시아는 역U(∩)자 패턴이고 남미만 U자 패턴을 보인다. 중년의 위기는 인류의 보편적 현상이 아니라는 말이다. 실선은 남성, 점선은 여성이다. 출처 ‘사이언스 어디밴시스’


“중년의 위기는 서구사회의 패턴일 뿐”

연구자들은 “주관적 웰빙은 건강한 노화의 중요한 요소”라며 “개인 경로의 문화적, 사회생태적 결정 요인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노년의 행복감은 헛된 욕망을 버린 심리적 결과가 아니라 사회 구조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중년의 위기가 사람뿐 아니라 유인원도 공유하는 진화의 산물이라는 주장 역시 막상 들여다보면 설득력이 크지 않다. 무엇보다 사람의 보살핌을 받는 동물원의 침팬지와 오랑우탄의 행동을 전문가가 관찰해 해석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야생의 늙은 유인원이 중년의 동료보다 더 행복할 것 같지는 않다. 중년의 위기는 노년의 복지가 잘 돼 있는 사회에서의 착시 현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400,000
    • +5.98%
    • 이더리움
    • 4,433,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737,000
    • +19.16%
    • 리플
    • 1,568
    • -0.88%
    • 솔라나
    • 340,800
    • +2.93%
    • 에이다
    • 1,105
    • -4.41%
    • 이오스
    • 899
    • -0.11%
    • 트론
    • 280
    • +1.08%
    • 스텔라루멘
    • 335
    • -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5,500
    • +10.18%
    • 체인링크
    • 20,400
    • -0.2%
    • 샌드박스
    • 470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