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자재 계산 넘어 입주민 편의까지…건설업계 AI 기술 경쟁

입력 2024-11-10 15: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포스코이앤씨 직원들이 인공지능(AI) 입찰문서 검토시스템을 활용해 업무를 하고 있다. (자료제공=포스코이앤씨)
▲포스코이앤씨 직원들이 인공지능(AI) 입찰문서 검토시스템을 활용해 업무를 하고 있다. (자료제공=포스코이앤씨)
건설업계에서도 인공지능(AI)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문서 검토와 현장 설계, 필요 자재 계산을 넘어 입주민 편의 향상까지 다양하게 활용되는 모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거대 언어 모델(LLM) 기반 계약문서 분석시스템 ‘바로답 AI’ 개발에 성공했다. LLM은 대규모 텍스트를 학습해 인간과 유사하게 언어를 처리하고 생성할 수 있는 AI 모델이다.

바로답 AI는 방대한 문서에서 핵심 정보를 정확히 추출하고 여러 문서에 산재된 데이터를 한눈에 비교·정리하며 명확한 출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계약 분석이 빨라지고 업무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달 AI 연구개발 스타트업과 공동으로 플랜트·건설 분야 특화 LLM 모델을 개발·시연했다. 165억 개의 말뭉치 토큰으로 이뤄진 방대한 플랜트 건설 분야 데이터를 학습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었다.

이를 활용해 사내 기술 자료를 질의응답 방식으로 검색·요약할 수 있는 ‘챗파일’ 서비스와 법률 조항, 표준계약조건(FIDIC) 등을 바탕으로 입찰안내서(ITB) 항목을 분석해주는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AI는 건설 현장에서도 영역을 확대 중이다. ‘스마트 건설’ 전담팀을 별도로 운영하는 포스코이앤씨는 콘크리트 외벽 균열을 조사하기 위한 ‘AI 균열 이미지 분석 플랫폼’을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드론 촬영과 비전(Vision) AI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향후 교량이나 플랜트 현장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과거 시공한 공동주택의 타입별 철근사용량을 분석해 신규 건설에 드는 철근량을 산출하는 ‘공동주택 철근소요량 예측’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견적을 낼 때부터 철근 사용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안정적인 철근 수급이 가능하다.

DL이앤씨는 지난해부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추진하는 ‘AI 기반 건축설계 자동화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AI를 통해 건축 설계 전반에 자동화·지능화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5개년 프로젝트다.

AI 설계 기술을 통해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 건설공사’의 설계안을 만들기도 했다. 전남 여수와 경남 남해를 연결하는 총 8.1km의 4차로 국도를 신설하는 사업으로, DL이앤씨는 5.76㎞ 길이의 해저터널이 수면 아래에서 두 갈래로 나뉘는 설계를 제안했다.

▲현대건설은 경기 화성 ‘힐스테이트 봉담’에 ‘H 클린팜'(스마트팜) 서비스를 도입했다. (자료제공=현대건설)
▲현대건설은 경기 화성 ‘힐스테이트 봉담’에 ‘H 클린팜'(스마트팜) 서비스를 도입했다. (자료제공=현대건설)

공동주택 입주민을 위한 자체 AI 서비스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3일부터 경기 화성 ‘힐스테이트 봉담’에 ‘H시리즈'를 적용했다. AI를 활용한 특화 서비스로 △H 클린팜(스마트팜) △H 헬시플레저(운동) △H 업사이클링으로 나뉜다. 입주민은 AI가 재배한 먹거리를 받거나 AI의 체형 분석을 통한 맞춤형 운동을 할 수 있다. 현대건설이 H 시리즈를 견본주택 아닌 실제 아파트 단지에 선보인 것은 처음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고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 시스템 ‘브링’(BRING)을 구축한다. 신축 래미안 아파트 2개 단지에서 대규모 로봇 서비스 시범 적용을 통해 최적화에 나선다. 실내 배송부터 청소, 발레 파킹 등으로 기능을 확장할 방침이다.

업계에선 건설업계의 스마트건설 기술 개발이 사업영역 확장과 건축물 품질 향상 등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시간이 다소 필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가치는 매우 높다는 평가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장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건설공사 특성상 낮은 생산성과 높은 산재 사고율, 기능 인력의 고령화 등 개선이 어려운 문제들이 많다”며 “스마트기술을 활용하면 이를 보완하기가 비교적 쉽기에 정부 또한 나서서 활성화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건설기술에의 AI 도입은 관련 인력과 비용, 기술력 등을 보유하고 있는 대형 건설사 위주로만 이뤄진다는 한계가 있다. 중소 건설업체는 기술 도입을 위한 장비나 기계 등의 비용적 부담이 월등히 높다.

이광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형 건설사의 경우 비용적 지원보다는 세제 지원이나 각종 직권조사 면제 등의 효과가 높을 것”이라며 “중소기업은 보조금·융자·보증 등 금융 지원을 통한 기술 개발을 기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98,000
    • +4.37%
    • 이더리움
    • 4,419,000
    • +1.03%
    • 비트코인 캐시
    • 726,000
    • +17.19%
    • 리플
    • 1,573
    • +2.34%
    • 솔라나
    • 340,600
    • +1.98%
    • 에이다
    • 1,100
    • -3.25%
    • 이오스
    • 915
    • +1.67%
    • 트론
    • 280
    • +0.72%
    • 스텔라루멘
    • 337
    • +3.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6,100
    • +10.35%
    • 체인링크
    • 20,640
    • +0.68%
    • 샌드박스
    • 479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