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자본이득세 도입 失機 말아야

입력 2024-09-09 1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설경진 중소중견부장

금투세·상속세 대안 목소리 커져
조세형평 맞고 국민 부담도 적어
정치권서 앞장설 때 실현 가능해

“세리나 저승사자나 하는 일은 비슷하지 않냐.” 영화 ‘조 블랙의 사랑’의 유명한 대사다.

고대나 현재나,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세금을 내기 싫어하고 내지 않으려는 시도도 존재한다. 이를 흔히 조세 저항이라고 부른다.

조세 공평 부담의 원칙이 무너질 경우, 조세 저항에 권력 기반이 붕괴돼 권력 교체를 통해 축출당하거나, 심하면 내전에 빠지는 경우는 역사에 흔히 있던 일이다. 그래서 국가는 국민의 조세 저항을 막기 위해 평등성과 공평성을 보장하는 조세 공평 부담의 원칙을 지키려고 한다.

지난 정권에 이어 이번 정권까지 부동산이 급등하면서, 기존 상속세 대상자가 급증하자 상속세에 대한 저항이 높아졌다. 해외 상속세와 비교하고, 상속세는 이중과세라며 불만과 비판이 거세졌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상속세 개편안을 내놓았다.

상속세에 이어 민주당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에 조세 저항이 옮겨갔다. 민주당은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원칙을 이야기하며 도입을 강행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금투세에 반대하는 상당수 사람은 세금을 내기 싫다고 무조건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부동산 등 다른 투자시장 대비 주식 투자 세금만 상대적으로 높아져 주식시장이 붕괴할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가계 자산에 부동산 비중이 70%가 넘는다. 부동산에만 집중하는 이유는 세금 측면에서 보면 당연하다. 부동산은 그 어떤 투자보다 세금이 낮기 때문이다. 현재 1가구 1주택자는 부동산으로 12억 원을 벌어도 세금이 없다. 그런데 집도 없는 사람이 주식으로 12억 원은커녕 5000만 원만 벌어도 금투세를 내라고 하는 것이다.

대안은 상속세, 금투세 등 여러 세제 논란을 해결할 수 있는 자본이득세다. 현재 선진국 대부분이 시행하고 있다. 자본이득세란 자본자산의 매각과 수익에서 발생하는 이득과 손실에 대한 조세다. 캐나다, 호주, 스웨덴 등 여러 선진국에서는 상속세를 폐지했다. 하지만 실상은 상속세라는 항목을 폐지했을 뿐, 자본이득세 강화로 상속세를 대체했다.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현 부통령이 미차익실현에 대해서도 자본이득세를 도입하자는 너무 앞서간(?) 공약을 발표해 질타를 받고 있지만, 기본적인 자본소득세 강화 추세는 미국도 마찬가지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수년 전부터 상속세를 폐지하고 자본이득세 등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상속세 개편에 초점을 둔 자본이득세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상속세 폐지를 통한 자본이득세를 도입할 경우, 고용과 투자를 통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기업주들이 가장 큰 혜택을 받는다. 상속 기업을 받는 시점에는 세금이 없다가 그 기업을 매각하는 시점에 세금을 내는 과세 이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불로소득으로 국가 경제에 부작용을 더 많이 남기는 부동산 부자들에게는 현재 우리나라 조세체제보다 불리해진다. 부동산을 보유하면서 나오는 임대소득이 소득에 더해져 내게 되고, 부동산 양도 소득도 소득에 더해져 소득세율로 내기 때문이다.

주식투자 소득도 소득에 더해져 낸다. 하지만 기본 공제액은 투자시장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부동산이나 주식이든 노동을 하든 1억 원을 벌면 같은 조건으로 세금을 내는 자본이득세를 도입하는 것이 진정한 조세 공평성과 형평성을 보장하는 조세 공평 부담의 원칙에 맞지 않을까.

금감원에 따르면 자본이득세는 개인 기본공제액 등을 적용해 이익을 적게 본 사람들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자본이득세는 손실액 공제를 적용한다는 것이다. 자본 손실 발생 시 해당 회계연도의 자본이득에서 해당 금액을 공제할 수 있으며 이월공제도 허용하고 있다.

이런 제도를 통해 자본이득세는 소수 부유층에만 과세하므로 대다수 국민에게 조세 부담이 크지 않다고 한다. 자본이득세를 도입하고 있는 영국은 자본이득세를 납부한 인원이 전체 인구의 3%에 불과하다.

물론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주식 등 공평성과 형평성에 맞게 자본이득세를 도입할지는 미지수다. 대부분의 정치권과 관료들이 자산을 부동산으로만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skj78@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90,000
    • +4.45%
    • 이더리움
    • 4,414,000
    • +0.94%
    • 비트코인 캐시
    • 723,500
    • +16.79%
    • 리플
    • 1,578
    • +3%
    • 솔라나
    • 340,200
    • +2.01%
    • 에이다
    • 1,100
    • -2.31%
    • 이오스
    • 914
    • +1.56%
    • 트론
    • 280
    • +0.72%
    • 스텔라루멘
    • 337
    • +2.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5,600
    • +9.77%
    • 체인링크
    • 20,640
    • +0.93%
    • 샌드박스
    • 480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