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 미국 경제지표 둔화로 달러화 약세 심리가 강화된 상황에서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로 달러화의 추세적 약세 여부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주간 원·달러 환율 예상 밴드는 1360~1400원으로 제시됐다.
8일 하이투자증권은 "유가가 재차 반등한 영향이 6월 소비자물가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도 관건이다. 7월 금융통화위원회 결과도 주목되지만 원·달러 환율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원·달러 환율은 1380~1390원대 박스권 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 확대, 6월 무역수지 흑자 규모 급증 등의 호재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금리인하 불확실성 그리고 엔 및 위안화 약세 동조화 등으로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추세다.
달러화 지수는 주간 단위 기준으로 5주 만에 큰 폭 약세를 기록했다. 공급자관리협회(ISM) 제조업 및 서비스지수 부진에 이은 고용지표 둔화세 등이 9월 미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을 높여주면서 달러화 지수가 약세로 전환했다.
유로화는 2주 연속 강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강세폭도 확대하고 있다. 프랑스 1차 총선에서 극우 정당이 1위를 했지만, 그 파장은 우려보다 제한적 수준에 그치는 모습이다. 반면 미국 경제지표 둔화 및 영국 총선 영향이 유로화 강세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달러-엔 환율은 소폭 하락했다. 161엔대에서는 일본 정부의 시장 개입 경계감 등으로 추가 상승 폭이 제한되고 있지만, 일본은행의 추가 긴축 조치를 둘러싼 논란으로 달러-엔 환율은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있다.
달러-위안 환율도 소폭 하락했다. 위안화 강세를 견인할 뚜렷한 재료 부재 속에 중국 장기 국채 금리 하락 우려 등이 달러 약세 속에 위안화 강세 폭을 제한하는 모습이었으며, 호주달러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호주 중앙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 우려에도 강세를 지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