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손실' 피한 지방금융지주…'부동산 PF 리스크'에 JB만 웃나

입력 2024-04-29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4-28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PF 연착륙 위한 대손충당금 부담에 BNKㆍDGB금융 실적 전망치 '암울'

BNK·DGB·JB금융지주 등 지방금융지주의 1분기 실적에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지방금융지주는 시중은행과 달리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비용 타격은 피했지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따른 대손충당금 부담 등이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2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대 지방금융지주들의 1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전망치는 528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882억 원)보다 10%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BNK금융은 지난해 2568억 원보다 14.8% 감소한 2187억 원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봤다. DGB금융의 순이익 전망치는 1363억 원으로, 1년 전(1680억 원)보다 18.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BNK금융과 DGB금융은 각각 이달 30일과 다음 달 2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앞서 22일 실적을 발표한 JB금융은 1분기 1732억 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634억 원) 대비 약 6% 증가한 수준이다. 이대로라면 올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인 지방금융지주는 JB금융이 유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순위도 바뀔 수 있다. 지난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BNK금융(2568억 원), DGB금융(1680억 원), JB금융(1634억 원) 순서였던 반면, 올해는 JB금융(1732억 원), DGB금융(1363억 원)으로 BNK-JB-DGB 순이 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지방금융지주의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는 부동산 PF 관련 부담이 꼽힌다. 부동산 PF 사업의 연착륙을 위한 대규모 충당금 적립이 실적 악화의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이 같은 상황은 1년 전에도 비슷했다. 지방금융지주 3곳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지난해 1분기 기준 3252억 원으로, 전년 동기(1607억 원) 대비 102.4%가량 증가했다. BNK금융은 818억 원에서 1249억 원으로, DGB금융은 427억 원에서 1104억 원, JB금융은 362억 원에서 899억 원으로 각각 충당금 적립 규모가 확대됐다.

올해에도 상황은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김재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BNK금융의 부동산 PF 자산 규모는 8조4000억 원에 달하는 가운데, 이 중 9919억 원이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높은 브리지론”이라고 했다. 다만, “해당 브릿지론에 대해 36%에 가까운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급격한 부동산 경기 위축이 수반되지 않는 한 추가적인 손실 리스크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JB금융 역시 부동산 PF로 인한 충당금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정리 계획으로 잠재적인 충당금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점이 우려 요인”이라며 “3월 말 JB금융의 PF 잔액은 6조6000억 원으로 브릿지론은 캐피탈이 보유한 2000억 원 정도가 존재한다”고 했다.

올해 1분기 JB금융의 지배주주순이익이 증가한 데에는 캐피탈 자회사의 순이자마진(NIM) 개선 영향이 컸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양호한 캐피탈 수익성과 그룹대출 성장률이 대손율의 부정적 효과를 상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기저효과로 인해 지방금융지주의 실적이 양호할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작년 충당금 적립이 선제적으로 이뤄진 만큼 올해는 상대적인 실적 개선이 나타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방은행 중에서는 순이자마진(NIM) 상승 폭이 가장 큰 BNK금융이 1분기 약 2420억 원 내외의 순익을 시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이 예상된다”고 했다.

백 연구원은 “올해도 (부동산 PF) 등 건전성 관련 어려움은 지속되겠지만, 작년 선제적 충당금 적립을 통해 대손율이 연착륙 기조로 전환된 점과 NIM이 안정화 추세로 갈 점을 고려해 올해 연간 순이익은 774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DGB금융에 대해 백 연구원은 “PF 사업장 구조조정 속도가 빨라지는 과정에서 일부 PF 관련 추가 충당금 발생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올해 연간 증권의 부동산 PF 관련 추가 충당금은 전년 연간 충당금 전입액 1324억 원보다는 소폭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79,000
    • +3.32%
    • 이더리움
    • 4,672,000
    • +8.02%
    • 비트코인 캐시
    • 672,500
    • +9%
    • 리플
    • 1,678
    • +8.96%
    • 솔라나
    • 361,000
    • +9.43%
    • 에이다
    • 1,111
    • -1.33%
    • 이오스
    • 914
    • +4.46%
    • 트론
    • 278
    • +1.09%
    • 스텔라루멘
    • 348
    • -1.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300
    • -2.64%
    • 체인링크
    • 20,840
    • +2.86%
    • 샌드박스
    • 480
    • +3.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