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위기와 고금리 영향으로 바이오 투심이 얼어붙은 가운데, 인수합병(M&A)이 자금 조달 방법으로 제시됐다. 다만 국내 바이오 산업 여건상 미국처럼 활발한 M&A는 어려움이 많아 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25일 성남 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에서 열린 혁신살롱에서 ‘K-바이오의 도약’을 주제로 패널 토의가 진행됐다. 혁신살롱은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한 업계 관계자들의 토론 및 네트워킹 행사다.
패널으로는 구영권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 대표,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 민경문 작가(前 더벨 기자),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상무, 이병철 카나프테라퓨틱스 대표가 참여했다.
이들은 국내 바이오산업이 과거보다 질적 성장을 이뤘지만, 바이오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면서 좋은 기술을 가진 기업도 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선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 대표는 “기업은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현재로선 신규 투자 유치는 어려운 상황이고, 기존 투자자를 중심으로 어떻게 하면 생존할 수 있을지, 기존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버틸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심수민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상무는 “신약 개발사 펀딩이 쉽지 않다”라면서 “비상장에서도 실적을 내는 기업이 있다. 그러나 상장 문턱이 좁아진 탓에 펀딩도 못 받아 상장이 어렵다. 좋은 기업임에도 시장의 변하는 과정에서 억울하게 높아진 금리 영향을 받고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허 연구원은 “빅바이오텍 3~4곳의 수익률이 코스닥보다 높다 보니 이제 그 회사만 바라본다. 임상 데이터처럼 기업이 밸류업 됐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 데이터 같은 먹거리를 던져줘야 시장에서 쳐다볼 것 같다”고 견해를 밝혔다.
패널들은 바이오 기업이 기업공개(IPO)를 제외하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M&A를 꼽았다.
구 대표는 “미국과 달리 국내서 M&A는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도 “다만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이 이제는 4~5세대라고 생각하는데 글로벌 기업이 봐도 믿을 수 있는 역량이 됐다. 좋은 인력이 많기 때문에 물꼬를 트면 빈번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업계는 생존을 위한 M&A를 실제로 추진하고 있다. 심 상무는 “비상장 기업끼리 M&A를 시도하고 있지만 성공한 곳이 없다. 눈높이가 맞지 않고, 서로의 물질이 더 좋다고 한다. 쉽지 않지만 노력과 시도를 더 해볼 것”이라고 피력했다.
민 작가는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의 눈높이가 맞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상장사가 인수해도 그에 따른 시너지가 없고, 상장사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M&A가 필요하지만, 대부분 국내 비상장이 아닌 해외기업을 바라본다. 해외 기업은 국내 기업과 거래를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