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품질 중시 세밀경영에 '조대리' 별명도
국내 재계 대표하며 해외와 가교 역할
89세를 일기로 29일 별세한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은 생전 한국 중화학공업을 일으킨 주역으로 꼽힌다. 또 국제관계에도 밝은 '글로벌 경영인'이며, '기술 중시 경영인'으로도 평가받는다.
다만 국제통화기금(IMF) 사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법인세 포탈 등의 혐의로 수사와 재판을 받았고, 아들들 간 분쟁인 '형제의 난'이 불거진 점 등은 상처로 남았다.
1935년 고(故) 조홍제 효성그룹 창업주의 장남으로 태어난 조석래 명예회장은 애초에는 경영에 큰 뜻이 없는 '학구 청년'이었다. 조 명예회장은 경기고를 다니다 일본 유학을 떠나 히비야고를 거쳐 와세다대 이공학부를 졸업했다. 이어 미국으로 떠나 일리노이대 공과대학원에서 화공학 석사 학위를 딴 뒤 박사과정을 이어갔다.
애초 대학교수가 돼 학자의 길을 걸으려던 그였지만, 창업주인 부친의 부름을 받고 1966년 귀국해 효성물산에 입사하면서 경영인으로 진로를 바꿨다.
그해 11월에는 효성의 모태인 동양나이론 건설본부장을 맡아 울산공장 건설을 지휘하며 이후 화학섬유 분야 선도 기업으로 성장한 효성의 기반을 닦았다. 이후에도 1973년 동양폴리에스터, 1975년 효성중공업을 연이어 설립하며 사세 확장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한때 공학도였던 조 명예회장은 직접 현장을 둘러보고 세밀한 부분까지 살펴 지시하는 꼼꼼한 업무 스타일로 유명해 '조 대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기술과 품질을 중시했던 조 명예회장은 '경제 발전과 기업의 미래는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력에 있다'는 철학에 따라 1971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기술 경영'에 앞장섰다.
그의 이런 관심과 노력은 주요 제품이 세계 시장에서 최고 평가를 받는 결과로 이어졌다. 효성의 스판덱스 브랜드 '크레오라'는 미국 듀폰의 '라이크라'를 제치고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브랜드가 됐다. 스판덱스와 더불어 효성의 간판 제품 중 하나인 타이어코드도 품질을 인정받아 1위 점유율을 지키고 있고, 송배전설비와 금융자동화기기 등 다른 제품들도 세계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평소 책읽기를 좋아하던 조 명예회장은 재계의 대표 학구파였고, 국제관계에도 밝아 민간외교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해외 유학 경험으로 일본어는 모국어 수준으로 구사했고 영어도 유창했다. 와세다대 동창인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와도 각별한 사이로 알려졌을 만큼 재계의 대표 '일본통'으로 불렸다.
풍부한 국제 인맥을 바탕으로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 경제인들과 활발히 교류했고, 태평양경제협의회(PBEC), 한미재계회의, 한일경제협회,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한중재계회의 등 재계의 국제 교류단체를 이끌며 주요 교역 상대국과의 가교 역할도 적극 펼쳤다.
2006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당시에는 양국 재계 인사들과 미국 행정부·의회의 유력 인사들을 만나고 다니는 등 민간외교의 중심에 섰다. 한일 FTA 추진과 함께 양국 기업 간 공동 비즈니스 확대를 모색하는 등 한일 교류에도 적극적이었다.
대표 경제단체인 전경련에서 1987년부터 2007년까지 20년간 부회장을 지낸 데 이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회장을 맡아 국내 재계의 '얼굴' 역할도 했다.
2017년 발간된 조 명예회장의 팔순 기념 기고문집에는 재계의 지인들이 기억하는 그의 일면이 잘 드러나 있다. 손길승 SK텔레콤 명예회장은 정부에 적극 의견을 밝히는 조 명예회장을 두고 '재계 지도자'라 칭했고,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미스터 글로벌'이라 불렀다.
대내외 활동은 활발했지만 경영인으로서는 소탈한 인물이었다는 평가가 많다. 해외 출장을 갈 때도 수행원 없이 다녔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의전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등 허례허식을 기피하는 성품으로 알려졌다. 일본에 출장을 다닐 당시에는 전철을 이용했다.
출장에서 돌아온 조 명예회장을 마중 나온 임원들이 가방을 대신 들어주려고 하자 "내 가방은 내가 들 수 있고, 당신들이 할 일은 이 가방에 전략을 가득 채워주는 것"이라고 한 일화도 유명하다.
실무진과 직접 토론하는 시간이 많았고, 부하 직원이라도 전문 지식과 확신을 갖고 이야기하면 받아들이곤 했다.
조 명예회장에겐 그림자도 존재했다. 차남인 조현문 전 효성 부사장이 촉발한 경영권 분쟁은 '형제의 난'이 대표적이다.
경영권 승계 구도에서 일찍 밀려난 조 전 부사장은 회사 경영에서 손을 떼고 2014년까지 회사 지분을 전량 매각한 뒤 그룹과 관계를 완전히 정리했다. 그러나 조 명예회장으로부터 경영권을 물려받은 형 조현준 회장을 상대로 횡령, 배임 등 의혹을 제기하며 고발을 이어갔다.
이후 조 명예회장은 2016년 말 그룹 회장직에서 물러났고, 2017년에는 대표이사직도 내려놓으면서 경영 일선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조 명예회장 본인도 회사를 경영하는 과정에서 법인세를 포탈하고 자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수사와 재판을 받았다.
이에 대해 조 회장은 IMF 사태 극복 과정에서 계열사 효성물산의 부실자산을 정리하면서 불가피하게 발생한 일이며 개인 이익을 추구한 적이 없고, 법인세 포탈 의도가 없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세수 감소를 초래하지도 않았다면서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 사건은 2020년 대법원이 법인세 포탈 혐의 일부를 무죄로 보고 파기환송해 재판이 진행 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