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체율 0.72→1.75%
부동산 경기 부진과 고금리 장기화가 지속되며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위기가 갈수록 현실화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아직 크지 않은 은행권조차 일반 건설업 연체가 빠르게 불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기준 23조2387억 원으로 지난해 말(20조3915억 원) 대비 14% 늘었다. 건설업종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는 지난달 말 기준 1051억 원으로 작년 말(524억 원)보다 2배가량 증가했다.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에서 올해 11월에는 0.45%까지 뛰었다.
부동산 PF의 경우 11월 말 기준 5대 은행 잔액은 18조2404억 원 수준이다. 올해 들어 26%(3조7917억 원) 더 늘었지만, 연체율은 아직 0%에 가깝다.
은행권 내부에서도 최근 건설업종의 빠른 연체율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보증부 대출 위주로 선순위 대출이 이뤄져 부동산 PF 관련 부실 위험이 당장 크지는 않지만, 부동산 경기가 다시 냉각되는 만큼 선제적 위험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도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건설·부동산업의 연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향후 부동산시장의 하방리스크를 감안하면 연체율이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의 ‘업종별 대출 집중도’ 분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재 부동산업의 집중도는 3.3으로 5개 업종(부동산업·건설업·숙박음식·도소매·제조업) 가운데 가장 높았다. 대출 집중도는 업종별 대출금 비중을 업종별 명목 국내총생산(GDP) 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고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금융 불안 요소로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