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3년 만에 인뱅 첫 흑자전환
전세대 아우르는 상품으로 대박
대출 비교하기 플랫폼 영향력↑
명실상부한 넘버원 금융플랫폼. 카카오뱅크를 일컫는 말이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압도적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전 국민 필수 앱 카카오톡의 효과는 컸다. 탄탄한 20·30대 이용자를 주축으로 한 모바일뱅킹 일상화로 40~60대 유입을 이끌어 전 연령대로 고객군을 넓히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출범 후 3년 만인 2019년 인터넷전문은행 중 가장 먼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후 매년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인터넷전문은행의 ‘엄친아’로 불렸다. 순이익은 이미 대다수 지방은행을 넘어섰다. 지난해 지방은행 1등인 BNK부산은행과의 순익 격차도 200억 원으로 좁혔다. 시중은행이 더 낫다는 편견도 깼다. 2017년 3월 카카오뱅크 출범을 위해 파견된 KB금융그룹 직원 15명이 복귀를 거절하고 잔류를 선택한 일은 두고두고 회자되는 일화다.
4일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고객 수는 2284만 명으로, 전년 대비 242만 명 증가했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를 합한 가입자 수보다 많은 압도적인 수치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759만 명에 달한다. 당기순이익은 3549억 원으로 전년보다 34.9%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성장은 뱅킹 비즈니스 혁신이 이끌었다. 2017년 7월 출범 이후 100% 모바일 기반의 혁신적인 이용자경험(UX), 유저 중심의 상품 및 혜택, IT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 등의 강점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효용과 편의성을 개선했다.
카카오뱅크는 26주적금, 모임통장 등 출시하는 상품마다 흥행에 성공했다. 기존의 수신상품을 고객 니즈에 맞게 출시하며 금융혁신을 이뤄낸 결과다. 2018년 6월 출시한 26주적금은 6개월 만에 100만 계좌를 넘었고, 지난해 8월 기준으로 누적 개설 2000만 좌를 돌파했다. 2018년 12월 출시한 모임통장 역시 올해 1월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카카오뱅크는 복잡한 여신 상품도 편리하게 제공하면서 전 국민의 금융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국내은행 최초로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100% 비대면으로 구현했다. 2022년 2월에는 전 과정을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하기도 했다.
금융 분야에서 압도적 1위는 플랫폼 영향력을 강화하는 초석이 됐다. 지난해 12월 ‘신용대출 비교하기’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플랫폼 플레이어로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지난해 신용대출 트래픽이 전년 대비 17% 증가하며 1200만 건에 근접하는 등 대출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미성년자 고객을 위한 카카오뱅크 미니(mini)는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가입자수 200만 명, 분기별 결제액은 5000억 원을 돌파했다.
카카오뱅크의 성장은 포용금융과 함께 이뤄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평소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포용과 혁신을 통해 금융생활 필수앱이 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30%를 돌파하며 인터넷전문은행 중 유일하게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목표를 달성했다. 작년 말 기준 30.4%이며, 잔액은 약 4조3000억 원이다.
금융 사각지대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금융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타지방 고객들의 금리가 낮아지는 등 포용금융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 지방 고객 중 대환대출을 통해 가장 크게 금리를 낮춘 고객은 2.415%포인트(p) 낮은 금리를 적용받았다. 연간으로 약 480만 원의 이자를 아낀 셈이다. 지난달에는 자영업자·소상공인과 청소년·노인 등 금융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총 20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