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펀드' 성장을 멈췄다

입력 2010-04-20 09: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재 설정규모 2조3천억...1년전 보다 2천억 감소

어린이 펀드마저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어 시장의 충격을 주고 있다.

주식형 펀드에서 차익실현성 환매가 나타나며 어린이 펀드 역시 ‘환매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갔다.

어린이 펀드는 1년 전 설정액이 2조 5000억원 수준에서 2010년 4월 16일 현재 2조 3000억원까지 감소한 상황이다.

어린이 펀드의 경우엔 다양한 '어린이' 부가서비스가 제공된다.

삼성자산운용과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등 여러 운용사들은 운용보고서 자체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제공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과 한국투신운용 등은 가입자 가운데 대상자를 선발해 해외 단기연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고, 어린이 경제교실을 여는 운용사도 있다.

증여세 면제와 소득공제 혜택도 누릴 수 있다. 현행 제도는 1억원 이하 금액에 대한 증여세율은 10%다. 5억원 이하는 20%, 30억원 이상은 50%다. 그러나 미성년자일 경우 10년간 1500만원까지 증여세를 면제해 준다.

전체 증권 펀드에 비하면 어린이 펀드의 설정규모는 1.2%에 불과하지만 어린이 펀드는 중요하다.

차후 자녀가 성장했을 때 학자금 마련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결혼자금이나 주택자금 마련 등 투자자 입장에서 쓰임새가 높기 때문이다.

양육비와 학자금 증가로 가계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어린이 펀드는 미래를 준비하는 좋은 투자수단이다.

이러한 효용성 때문에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이미 어린이 펀드(Child Trust Fund)를 도입해 세제혜택과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문제는 우리의 경우 어린이 펀드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싹도 틔우기도 전에 고사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점이다.

오온수 현대증권 펀드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의 단기적 시각과 매매타이밍을 중시하는 투자 행태에도 원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가 더 크다”고 전했다.

실제로 어린이 펀드는 일반 펀드와 구별되는 차이점이 없다고 지적했다.

연금저축 상품처럼 소득공제나 비과세 혜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장기투자 시 부여되는 혜택도 전무하다는 설명이다.

운용사에선 기금 조성을 통해 어린이 경제캠프, 글로벌 캠프 같은 행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펀드 가입을 독려하고 있지만 제도적 뒷받침이 반드시 뒤따라야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리얼리티 일반인 출연자 리스크…‘끝사랑’도 예외 없었다 [해시태그]
  • ‘영국’서도 통했다…셀트리온, 압도적 처방 실적 보이며 강력한 성장세
  • 너무 느린 제10호 태풍 '산산'…무너지고 잠긴 일본 현지 모습
  • '전동 스쿠터 음주 운전' BTS 슈가, 검찰에 불구속 송치
  • 의료인력 수급 논의기구 연내 출범…"2026년 의대정원 논의 가능"
  • 스포츠공정위, '후배 성추행 혐의' 피겨 이해인 재심의 기각…3년 자격 정지 확정
  • 금감원,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대출…우리금융저축은행·캐피탈까지 현장 검사
  • "연희동 싱크홀 도로, 전조 증상도 없었다…일대 주민들도 불안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8.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211,000
    • -0.47%
    • 이더리움
    • 3,426,000
    • +0.53%
    • 비트코인 캐시
    • 437,400
    • -0.39%
    • 리플
    • 769
    • +1.05%
    • 솔라나
    • 184,800
    • -1.75%
    • 에이다
    • 472
    • -0.63%
    • 이오스
    • 656
    • -1.8%
    • 트론
    • 213
    • -2.74%
    • 스텔라루멘
    • 125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450
    • -0.78%
    • 체인링크
    • 15,100
    • +1.21%
    • 샌드박스
    • 345
    • -0.29%
* 24시간 변동률 기준